소중한 말 한마디
작성자 정보
- 코리안라이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9 조회
- 목록
본문
누군가가 무심코 던진 한마디가 마음에 깊이 박혀 상처가 되고, 아픔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어느 분은 사업 실패로 인해 큰 집을 팔고 작은 유닛으로 이사하게 되었습니다. 속사정을 몰랐던 한 이웃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런 조그만 집은 노인네들이나 사는 곳인데, 왜 그런 데로 이사 가세요?” 그 말을 듣는 순간, 자신이 한없이 초라하게 느껴졌고, 마치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향해 손가락질하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합니다. 그분은 그 우울함에서 벗어나기가 매우 어려웠다고 고백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사람의 외모나 겉모습만 보고 쉽게 판단하는 말을 할 때가 있습니다. “어떻게 부모라면 그럴 수 있어요?” “교회 집사가 어떻게 그럴 수 있죠?” “상담하는 사람이면 그러면 안 되죠!” “나를 보고 인사도 안 하다니, 정말 건방진 사람이야.” 이런 말들이 그렇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깊은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겉으로 보이는 사실과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이야기를 잘 들어보면, 비록 잘못된 행동을 한 사람일지라도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보이고, 이해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더 깊고 진실된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대의 말이나 행동만 보고 판단하기보다, ‘왜 그랬는지’를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게리 채프먼이 쓴 『사랑의 코칭』에는 시댁과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어떤 며느리는 시어머니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녀는 절약을 중요시하는 집안에서 자라 과소비를 나쁜 습관으로 배웠습니다. 그런데 시어머니는 매주 며느리를 만나 식사를 대접한 뒤, 값비싼 옷을 사주곤 했습니다. 며느리가 원하는 것은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었지만, 시어머니는 늘 쇼핑을 고집했습니다. 결국 옷장은 새 옷으로 넘쳐났고, 시간과 돈이 낭비되는 것 같아 불편함을 느꼈습니다. 그녀는 시어머니가 이해되지 않았고, 상담사를 찾아가 도움을 받았습니다. 상담사는 며느리에게 이렇게 제안했습니다. “어머니께 옷을 사주는 일이 얼마나 기쁜 일인지, 그리고 왜 그렇게 기쁜지 직접 물어보세요.” 그 대화를 통해 시어머니는 며느리에게 옷을 사주는 일이 자신에게 10점 만점에 9점의 기쁨이라고 말했습니다. 그 이유는 시어머니의 과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결혼 후 너무 가난해서 입을 옷조차 없었던 시절, 시어머니는 ‘내 며느리에게는 예쁜 옷을 사주며 살아야겠다’고 결심했던 것입니다.
이 이야기를 들은 며느리는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느꼈고, 그 감정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점차 쇼핑 대신 다른 활동을 함께 하도록 제안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는 더 깊어졌습니다. 이처럼 사람의 마음과 동기를 알게 되면, 우리가 판단했던 모습과는 전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특히 좁은 교민 사회에서는, 누군가의 말만 듣고 사람을 쉽게 판단하거나, 심지어 왕따시키는 경우까지 생깁니다. 물론 경계심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될 때도 있지만, 선입견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최근 한 영상에서, 한국의 한 크리스천이 거리의 노숙자들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며 안아주고, 닦아주고, 작은 음식을 나누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냄새나고 가까이 가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먼저 손을 내밀고 다가가는 그 모습은, 예수님을 사랑하고 한 영혼을 깊이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진심으로 사랑하려는 마음이 있으면, 상대방의 진짜 필요가 무엇인지 알게 됩니다. 말을 하지 않아도 눈빛과 몸짓을 통해 오해 없이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누군가를 함부로 판단하지 않고, 진심 어린 관심을 갖고 온몸으로 그 이야기를 들으려는 노력입니다. 헬렌 켈러의 일화는 그 좋은 예입니다. 보지도 듣지도 못했던 헬렌이 어느 날 할머니의 드레스에서 단추를 미친 듯이 뜯었습니다. 처음엔 엄마가 당황했지만, 곧 딸의 의도를 알아챘습니다. 딸이 애착을 보이던 헝겊 인형에 눈을 달아주고 싶었던 것이었습니다. 엄마가 단추 두 개를 떼어 인형의 눈으로 달아주자, 헬렌은 만족스러운 미소를 지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사람을 만납니다. 그중에는 오늘 우리의 따뜻한 이해와 손길이 필요한 사람이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이 세상에 있는 이유는, 그런 사람들을 한 번이라도 더 격려하고 사랑하고 품어주기 위함인지도 모릅니다. 주님은 “작은 자에게 한 것이 곧 나에게 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에게 주신 소중한 입과 손으로 누군가의 마음에 상처를 남기기보다, 격려하고, 들어주고, 위로하고, 세워주는 데 사용되기를 바랍니다.
호주카리스대학 김훈 박사
관련자료
-
링크